题名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격식성 어미 교육에 대한 제안

并列篇名

針對華語圈韓語學習者格式性語尾教育之建議|Suggestions regarding How to Teach Korean Formality Suffix to Mandarin Speaking Students

作者

王清棟(Wang Ching-Tung)

关键词

한국어교육 ; 높임법 체계 ; 격식체 ; 비격식체 ; 종결어미 ; 사회적 관계 ; 韓語教育 ; 敬語法系統 ; 格式體 ; 非格式體 ; 終結語尾 ; 社會關係

期刊名称

韓國學報

卷期/出版年月

35期(2018 / 03 / 01)

页次

139 - 158

内容语文

韓文

中文摘要

이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격식성 사용에 대 한 학습자 양상을 살피고,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밝힘과 동 시에 향후 교육 방법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현재 한국어교 육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 언어의 문화적 환경과 문법 특 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한국인의 시각과 관점을 바탕으로 한 격식성 어미 체계를 한국어교육에 적용하다보니 교육적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향후 중 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격식성 어미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 은 제안을 한다. 첫째는 한국어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격식성 교육에 관련한 공통된 기준 및 명확한 교수 항목이 마련 될 필요가 있다. 둘째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격식성 도입 시 기와 관련하여 언어 능력 정도가 아닌 실생활에서 유용한 순으로 초급과정에서부터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 이다. 셋째는 감탄이나 혼잣말 등, 청자를 배제한 화자 자 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사용되는 격식성 어미에 대해 한국어 교육에서 보완 및 설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英文摘要

本研究主要目的在於觀察華語圈韓語學習者之格式性(formality)語尾使用樣態,並在闡明教育強化的同時,也針對往後之教育方法提出建言。目前在韓國語教育環境中普遍偏重於韓國人的視角與觀點來談論韓語的格式性語尾系統,而非考慮到華語圈學習者語言的文化環境與文法特性,因此在教育層面來說效率性相對地無法提升。因此,本研究中提出三項建議方向:首先為為求加強韓語教育的效率性,實有確立有關格式性教育的共同基準與明確的教育項目的必要。第二、有關韓語教材中格式性的導入時機,不應按照韓語語言程度,而是應該按照實際生活中運用的順序,從基礎階段開始積極導入。第三、有關感嘆、自言自語等排除聽者,話者為求表達本身的感情的過程中所使用的格式性語尾,在韓語教育中時亦有必要補充或強化說明其使用方法與適用之語言環境。

主题分类 人文學 > 人文學綜合
社會科學 > 社會科學綜合
社會科學 > 社會學
参考文献
  1. 국립국어원(2016).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국립국어원.
  2. 박지순(2014).한국어 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체계의 제 문제.문법교육,20,77-108.
  3. 안의정(2008).말뭉치를 이용한 어휘의 구어성 측정과 활용.어문논집,57
  4. 오광근(2013).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대화문 제시의 문제와 그 해결방안.새국어교육,94,341-360.
  5. 이삼형,이필영,임유종(2004).어말어미의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36개월 이전의 영,유아를 중심으로.국어교육 학연구,18,320-346.
  6. 이은희(2002).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식.이중 언어학,25,207-230.
  7. 이정희(2003).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박이정.
  8. 이정희,김중섭(2005).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이중언어학,29,321-346.
  9. 임동훈(2006).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국어학,47,287-539.
  10. 임지룡(2015).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한민족어문 학,69,359-398.
  11. 정여훈(2009).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문체(Style) 오류에 대하여 -중급 수준의 영어 모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4
  12. 최석재(2007).현대국어 대우법의 화계 구분에 대한 고찰.한국어학,37,397-432.
  13. 최현배(1980).우리말본.정음사.
  14. 한국어학당(2008).연세 한국어.연세대학교 출판부국립국어원.
  15. 홍윤기(2015).구어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 연구.어문연구,43(2),41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