题名 |
한국어 높임 표현의 실제와 그 교육 |
并列篇名 |
Korean Honorific Expression, Its Realistic and Education |
DOI |
10.29611/ZHWHGX.201012.0002 |
作者 |
홍종선(Jong-Seon Hong) |
关键词 | |
期刊名称 |
中韓文化關係國際學術會議論文集 |
卷期/出版年月 |
19屆(2010 / 12 / 18) |
页次 |
2 - 15 |
内容语文 |
韓文 |
中文摘要 |
한국어의 높임법은 통시적인 변화의 폭이 크고 또한 현재도 변화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문법 범주이다. 높임법은 사회 문화적인 언어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나타나 특히 상대 높임의 화계는 다양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그 변화의 정도가 더욱 심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전 연구들에서 보인 한국어 높임법의 화계가 오늘날 언어 현실과 괴리가 있으므로 재검토되어야 한다.현재 학교 문법에서 보이는 격식체 4등급과 비격식체 2등급이라는 2원적 체계는 현실 언어와 거리가 있어 보인다. 오늘날 한국어 화계의 기본 체계는 ‘하십시오, 하세요, 해요, 해, 해라’라는 1원적 5등급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높임법 체계가 이처럼 단순화되어 가듯이 압존법도 약화되는 추세이고, 발화 중 화계가 뒤섞이는 현상(switching)도 많아지며, 젊은이들 가운데 높임 표현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젊은이들도 늘어나고 있다.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내국인들에게는 한국어의 특징인 높임 표현에 대한 교육을 좀더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내국인의 이러한 높임법 변화를 수용하여 현실성 있는 한국어 문법 체계와 언어 표현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높임 표현에서도 숙달 단계에 따라 기본 체계 이외에도 이해 언어로서 좀더 많은 종결형의 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
英文摘要 |
Korean honorific expression is a grammatical category having amount of changes diachronically and relatively vigorous development. Honorific expression associated with socio-cultural language elements has been changed rapidly in diverse modern society, and it has brought a big change of speech class. In this regard, former studies need an overall reappraisal.Dual system, four levels of formal style and two levels of informal style used in formal education, seems to be far from the language outside of classroom. It could be defined with five levels of mono system; hasipsio(하십시오), haseyo(하세요), haeyo(해요), hae(해), haera(해라). There are some conditions relating with the honorific expression in modern Korean. First, suppressed-honorific expression becomes weakened like simplified usage of Korean honorific expression. Second, there is a speech level switching in communication. Lastly, it is increasing for young people not to use appropriate honorific expressions and not to know honorific expression usage well.I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build up the honorific expression learning for teaching native speakers. This is considered and then reflected the change of the honorific expression usage for teaching Korean to foreign learners. Additionally, authentic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 should be applied to teaching honorific expression and Korean endings as an understanding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
主题分类 |
人文學 >
人文學綜合 |